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퇴직금 및 퇴직연금(IRP) 운용 가이드

by record9429 2025. 4. 25.
반응형

 

 

 

1. 입사 1년 후 퇴직연금 IRP 요약

– 회사에 1년 근무 완료

– 법적으로 퇴직금 지급 요건 충족 (1년 이상 근무 + 주 15시간 이상 근로)

– 회사가 퇴직연금 제도(IRP 관련) 가입 안내 연락함

2. 퇴직금 및 퇴직연금 기본 개념

🔸 A. 퇴직금

  • 1년 이상 근무 시 지급
  • 계산: 1년 근속 × 30일치 평균임금

🔸 B. 퇴직연금 제도

회사에 따라 아래 둘 중 하나 운영

구분 DB형 DC형
운용 주체 회사 본인
지급 방식 평균임금 × 근속년수 매년 퇴직금 적립, IRP로 운용
수익 책임 회사 본인
IRP 필요 여부 퇴직 시 필요 연금 적립 중에도 필요함

3. 지금 해야 할 일 (Check List)

단계 해야 할 일 설명
✅ 1 회사에 퇴직연금 유형(DB/DC) 확인 DC형이면 IRP 꼭 필요
✅ 2 IRP 계좌 개설 은행, 증권사, 보험사 중 하나 선택
(증권사 추천: 키움, 미래에셋, 삼성증권 등)
✅ 3 계좌번호 회사에 제출 회사에서 연금 적립 또는 퇴직금 이체 가능
✅ 4 IRP 상품 구성 예금/펀드 등 선택 (아래 추천 있음)
✅ 5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신청 IRP 납입금액 세액공제 혜택 있음 (최대 115.5만 원)

4. IRP 추천 운용 전략 (1년차 직장인 기준)

💼 성향: 수익도 노리고, 너무 위험하지 않게 굴리고 싶다

  • TDF 2045 또는 2050형 (70%)
    예: 삼성 TDF2045, 미래에셋 TDF2050 등
    주식+채권 자동 분산, 시간 지나면 안전자산으로 이동
  • 정기예금형 (30%)
    IRP 전용 예금상품 선택
    금리는 낮지만 원금 보장

운용 예시

자산 비율 추천 상품
TDF 70% 삼성 한국형 TDF2045, 미래에셋 TDF2050
예금 30% IRP 전용 정기예금 (증권사 또는 은행 제공)

5. IRP 세액공제 팁

  • IRP에 연 700만 원까지 납입 가능
  •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최대 16.5% (약 115.5만 원) 돌려받을 수 있음
  • 납입은 자유롭게, 자동이체 설정해도 좋음

요약: 1년차 직장인으로서,

  • 퇴직금 받을 자격 O
  • DC형일 경우 IRP 필수
  • IRP는 TDF + 예금 조합 추천
  •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도 꼭 챙기기
반응형